본문 바로가기
삶의 질 상승

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자격 및 신청기간 (5,000만 원 목돈 만들기)

by thegrnds 2023. 6. 15.

2023 청년도약계좌의 구체적인 내용을 한 눈에 보여주는 사진
2023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5년간 매달 최대 70만 원을 적금으로 납입하면, 정부 기여금을 더해 총 5,000만 원 목돈을 마련해 주는 정부 국정과제 발 금융상품입니다.

 

윤석열 정부의 청년 자산형성 공약으로 본래 10년에 1억 만들기 프로젝트였으나, 수정을 거쳐 5년에 5천만 원 만들기로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현재는 금융권과 협의를 마친 후, 2023년 6월 15일 출시하였는데요.

 

구체적인 신청 자격조건과 신청방법을 차례대로 확인해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지급 구조

총 5년 만기 중 3년 간 고정금리, 2년 간 변동금리로 적용되며 소득이 낮을수록 혜택이 커집니다.

상품 가입 → 매달 최대 70만 원 은행 납입 → 이자 + 정부기여금 → 5년 만기 수령(이자소득 비과세)으로 4,894만~5,000만 원으로 수령금액이 예상됩니다. 이는 연 7.68~8.86%인 적금 상품에서 기대할 수 있는 이자 수익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개인소득(총급여) 월 본인 납입한도 월 기여금 지급한도 기여금(금리) 적용 비율 기여금 한도
7,500만원 이하 70만원 - - -
6,000만원 이하 70만원 3.0% 2.1만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3.7% 2.2만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만원
2,400만원 이하 40만원 6.0% 2.4만원

 

청년도약계좌 신청자격

청년도약계좌 신청 대상은 만 19세~34세 청년 중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입니다. 개인소득 연 7,500만 원 이하와 동시에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경우가 해당합니다. 금리 적용 조건은 소득 기준에 따라 다소 상이한데요. 개인소득 수준보다 소득이 많은 청년도 가입 가능합니다. 다만 기여금 적용은 되지 않으며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적용 가능합니다.

*특히 병역 이행자의 경우, 병역 이행 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가구원 구성에 따른 기준중위 소득액 2023년 기준
1인 가구 2,077,892
2인 가구 3,456,155
3인 가구 4,434,816
4인 가구 5,400,964
5인 가구 6,330,688
6인 가구 7,227,981

 

청년도약계좌 가입하는 방법

● 취급 11개 은행 애플리케이션(비대면)을 통해 가입 신청이 가능하며, 기본 요건 확인도 가능합니다.

● 농협, 신한, 우리, 하나, IBK기업, KB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 등 11개 은행으로, 은행별 최고금리 차이가 없기 때문에 급여이체, 첫 거래, 관련 카드 보유 등 편의성을 따져 가입하시면 됩니다.

● 비대면 가입으로 별도 서류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 소득확인 등 진행

● 가입은 복수 은행 가능, 실 계좌 개설은 1곳서만 가능합니다.

● 가입신청 후 2~3주 내 심사 완료 및 결과통보 예정

● 6.15 ~ 6.23일 사이 출생 연도 끝자리 5부제 실시

 

가입일 기준 출생 연도 끝자리 (5부제)
6/15(목) 3, 8
6/16(금) 4, 9
6/17(토) 0, 5
6/20(화) 1, 6
6/21(수) 2, 7
6/22(목) 관계없이 접수
6/23(금)

 

제가 사용하고 있는 신한은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직접 신청을 해보겠습니다. 저는 5부제 때문에 더 진행하지 못했지만, 차례대로 검색해 보시면 손쉽게 접근하실 수 있으니 사용 중인 은행 애플리케이션으로 바로 신청해 보세요.

 

신한은행 어플리케이션 작동 사진
신한은행 진행 사진

 

신한은행 어플리케이션 진행 사진
신한ㅇ느행 진행 사진

 

위 상품은 저소득층 청년 지원을 위한 복지상품이나 고용지원 상품들과도 동시가입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애플리케이션 통해서 신청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